본문 바로가기

댕댕백과사전

강아지 사료 안 먹을 때, 거부하는 이유 및 해결책

728x90

강아지가 밥을 먹지 않아 고민인 보호자들 많으시죠?

밥을 먹지 않아 불쌍해 보여 간식을 주고, 간식 먹고 나면 강아지들은 사료를 더욱 안 먹고

밥 먹을 때까지 안 주겠다 다짐해도 초롱초롱한 눈빛으로 쳐다보면 또 주게 되는 악순환의 반복이죠.

강아지들이 사료를 거부하는 이유와 해결책을 알아봅시다.


1. 활동량이 적을 때

산책량이나 몸을 움직이는 활동량이 적을 때 사료를 주게 되면 강아지들이 먹지 않아요.

몸을 별로 움직이지 않았는데 밥을 또 먹으라 하면 당연히 먹지 않겠죠?

이런 아이들은 산책하는 시간을 더 길게 가지고, 실내에서도 에너지 소모가 있게끔

장난감을 가지고 놀아주세요.

 

2. 사료가 딱딱해서

잇몸이나 이빨이 좋지 못한 강아지들이 사료가 딱딱해서 못 먹는 경우가 있어요.

이런 경우, 사료를 물에 불려주거나 전자레인지에 조금 돌려서 주는 것도 방법이랍니다.

그래도 먹지 않는다면 습식사료를 사서 주세요.

초반에 먹지 않을 수 있지만 적응하면 잘 먹을 거예요.

 

3. 잘못된 식습관

강아지가 밥을 먹지 않아 보호자들이 간식을 주는 경우가 있는데요.

그렇게 습관이 된다면 강아지는 더욱 사료를 먹지 않게 됩니다.

간식이 사료보다 맛이 더 자극적이기 때문에 강아지가 사료를 먹지 않는다고 간식을 주지 마세요.

먹지 않는다면 1~2끼 정도는 굶겨도 괜찮습니다.

마음 단단히 먹으시고 사료를 꼭 주세요!

 

4. 스트레스, 불안감

사람들도 불안하거나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면 입맛이 없어 밥을 안 먹게 됩니다.

이처럼 강아지도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게 되면 사료를 안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.

보호자가 집을 비울 때 먹지 않다가 돌아오면 먹는 경우가 불안감에 의한 사료 거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또한, 강아지가 병원을 다녀오고 스트레스를 받아 안 먹을 수 있으니 안정을 시켜주고 사료를 급여해 주기 바랍니다.

 

5. 질병

소화기관이나 이빨, 잇몸 등 어딘가 아파서 안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.

설사를 한다거나 구토를 하는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니 이런 경우는 병원을 가서 검사받길 권합니다.

특히 새끼 강아지 경우, 식욕이 왕성한 시기인데 힘이 없고 잘 먹지 않으면 

꼭 병원을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


강아지가 사료를 거부하는 이유와 해결책을 알아보았는데요.

보통 강아지들은 식습관을 개선해주면 잘 먹기 때문에 보호자들이 조금만 노력해봐요.